티스토리 뷰

건강의학

발달장애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하남이쁜이네 2023. 5. 1. 22:37

목차



    발달장애란, 주로 발달기에 나타나기 시작하는 정신적 또는 신체적인 장애를 통틀어서 말합니다. 지적장애, 뇌성마비, 염색체 장애, 전반적인 발달장애, Adhd 등이 발달장애로 분류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영향으로 지적장애와 자폐장애 2개 장애를 발달장애의 유형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발달장애

     

    지적장애 (Intellectual Disability) 

    지적장애는 대개 지능지수 70~75이하로 흔히 정의되며 인지와 적응된 행동장애가 있는 사람으로 특정 지어지는데 인지결여, 지능장애, 학습장애 등이 기능 저하로 오인될 수 있습니다. 지적장애의 유병률은 경한 장애까지 모두 포함할 경우 인구 1 천명당 15~30명 ,  심한 장애로 국한하면 인구 1 천명당 2.5~5명 정도로 파악됩니다. 성염색체와 관련된 증후군에서 지적장애가 많이 동반되고 남아가 1.3~1.9배가 더 많습니다.  지적장애는 유전학적, 환경적, 생태학적 원인에 의합니다. 발달지연 또는 지적장애의 발생시기에 따라 추정할 수 있는 원인이 다릅니다. 태생기의 원인은 60~80%가 유전적인 이유로 발생하며 주산기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신생아 가사나 두부손상등으로 뇌성마비가 초래된 경우가 흔하며 모든 지능 저하의 원인은 8~12%를 차지합니다.  중증 지적장애의 70~80%는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나, 경한 경우는 뚜렷한 원인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염색체이상은 중등도 이상의 지능 저하에서 울걸두부기형이나 다른 선천성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운 증후군이나 취약 x증후군이 지능 저하를 동반하는 대표적인 염색체이상입니다. 신생아학과 과학의 눈부신 발달로 극소체증으로 태어나는 미숙아들의 생존율의 급증으로 이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지장애, 학습장애, 청력장애, 시력장애등의 복합적인 후유증이 지능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밖에 알코올이나 흡연, 마약 등을 상용하는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에서 지능저하를 보일 수 있습니다. 신생아 알코올 증후군은 북미나 유럽에서는 지능저하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은이나 납중독 등도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영양부족이 있거나 사회, 경제적 수준이 낮은 저소득층에서 더 흔하며 가족 중 특히 어머니의 관심이 부족할 때 인지장애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주의력 결핍-과잉운동장애   (Adhd)

    주의집중이 힘들고 과다행동이 있으며 충동적 성향을 보이는 경우로, 주의력결핍만 있는 경우와 과다행동과 충동적 성향만 있는 경우, 또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 충동적 성향이 모두 존재하는 형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소아의 만성 신경발달장애 중 가장 흔하며 3~9%에서 볼 수 있고, 남아에서 더 흔합니다. 대게 7세 이전에 발생하며 일찍 나타나는 경우 2세 또는 이전에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들 특징적인 증상이 집이나 학교 또는 놀이장 등 곳 이상에서 증상이 있고,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특징적인 증상과 함께 주의가 산만한 행동과 사회력 저하와 감정의 미숙, 안절부절못하는 행동, 학업성취도 저하,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하는 등의 증상이 동반됩니다. 과다행동이 있는 환아들의 보호자들에 대한 병력청취상 영아기의 수유문제와 수면장애등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남녀에서 증상의 정도의 차이를 보이는데, 여아는 과다행동과 외향적인 행동의 정도는 남아에 비해 심하지 않지만 인지장애의 정도는 심합니다. 

     

    뇌성마비

    뇌성마비란 발달 및 성숙과정에 있는 뇌의 병변이나 결함으로 인해 운동이나 자세의 이상을 나타내는 비진행성 신경장애를 말하며 흔히 간질, 지적장애, 언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등을 잘 동반합니다. 발생빈도는 출산아 1,000명당 약 1~$명 정도로 추정되며 3세 아동을 기준으로 할 때 중등도 이상의 뇌성마비를 가진 그 원인이나 위험인자가 규명되는 경우는 전체의 약 1/3 이하이며 지금까지 알려진 위험인자들로는 주산기가사, 미숙아 및 저체중아, 자궁 내 감염, 고빌리루빈혈증, 자궁내발육지연, 선천성기형, 유전적 소인, 신생아기의 경련, 신경계감염, 두 개 내 출혈 및 기타 중추신경계 이상, 당뇨, 갑상선 질환, 약물복용 등 기타 각종 모체의 질환, 위험인자나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 등이 있습니다.   뇌성마비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환자의 잠재력을 최대화하고 장애를 최소화화여 가능한 보다 독립적인 사회생활을 하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므로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가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반응형